티빙은 국내 최초의 OTT 플랫폼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어, 그 원인과 함께 경영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티빙 개요
- 티빙의 출범과 성장
- 콘텐츠 제공 현황
- 티빙의 재무 현황
- 매출액과 적자
- OTT 산업 내 위치
- 외부환경 분석
- 시장 분석
- 경쟁사 분석
- 소비자 분석
- 내부환경 분석
- 강점
- 약점
- 티빙의 경영 전략
- 1. 스핀오프 및 시즌제 콘텐츠
- 2. 번들링을 통한 Lock-in 전략
- 3. 티빙-시즌 합병
- 4. 광고요금제 도입
- 5. KBO 스포츠 독점 중계
- 자주 묻는 질문
- 질문1: 티빙의 주요 콘텐츠는 무엇인가요?
- 질문2: 티빙의 매출은 어떻게 변화해왔나요?
- 질문3: 티빙의 주요 경쟁자는 누구인가요?
- 질문4: 티빙의 광고요금제는 어떻게 운영되나요?
- 질문5: 티빙은 어떤 전략으로 수익성을 높이려 하고 있나요?
- 질문6: 티빙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 함께보면 좋은글!
티빙 개요
티빙의 출범과 성장
티빙은 2010년 CJ헬로비전에서 출시되었으며, 가정의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N-Screen’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이후 CJ E&M으로 이관되며 2020년에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콘텐츠 제공 현황
티빙은 실시간 방송, 영화, 드라마, 예능, 다큐멘터리 등 약 16만 편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오리지널 시리즈로는 ‘환승연애’와 ‘술꾼도시 여자들’이 있습니다.
티빙의 재무 현황
매출액과 적자
2023년 12월 기준, 티빙의 총 매출액은 3,264억 2천만원으로, 초기 2020년 대비 21배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은 -1,522억 8천만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영업이익도 -1,419억 7천만원에 달합니다. 이는 높은 제작비와 상각비 증가로 인한 것입니다.
OTT 산업 내 위치
국내 OTT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5.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티빙은 넷플릭스, 웨이브, 쿠팡플레이 등과 경쟁하고 있으며, 현재 시장 점유율은 10% 미만입니다.
외부환경 분석
시장 분석
국내 OTT 산업은 8년간 연평균 28%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의 진출 이후, 국내 OTT 플랫폼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경쟁사 분석
- 넷플릭스: 시장 점유율 38%, 막대한 콘텐츠 제작비 투자.
- 웨이브: 시장 점유율 14%, 지상파 방송 모두 제공.
- 쿠팡플레이: 시장 점유율 11%, 경쟁사 대비 저렴한 요금제 제공.
소비자 분석
소비자 연령 분포가 다양하며, 주요 소비층은 20대에서 40대입니다. 여성 이용자가 많아 예능 콘텐츠에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내부환경 분석
강점
- 콘텐츠 자체 제작 역량: JTBC와 CJ E&M의 협업을 통해 독점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브랜드 파워: 오리지널 콘텐츠의 성공으로 소비자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약점
- 제한된 콘텐츠 양: 약 1,000여 편의 콘텐츠 보유로, 넷플릭스의 4,000편 이상에 비해 부족합니다.
- 편중된 고객층: 20-30대 여성에 집중되어 있어 다양한 고객층 확보가 필요합니다.
티빙의 경영 전략
1. 스핀오프 및 시즌제 콘텐츠
티빙은 성공적인 콘텐츠를 기반으로 스핀오프 및 시즌제를 도입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2. 번들링을 통한 Lock-in 전략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과의 협업을 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고객의 프리미엄 서비스 이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3. 티빙-시즌 합병
KT의 시즌과 합병하여 콘텐츠 확보를 통해 넷플릭스와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4. 광고요금제 도입
광고형 요금제를 도입하여 가격 부담을 낮추고, 광고 수익을 통해 적자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5. KBO 스포츠 독점 중계
KBO의 온라인 중계권을 확보하여 스포츠 콘텐츠의 차별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티빙의 주요 콘텐츠는 무엇인가요?
답변: 티빙은 ‘환승연애’, ‘술꾼도시 여자들’ 등의 오리지널 시리즈를 포함하여 약 16만 편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질문2: 티빙의 매출은 어떻게 변화해왔나요?
답변: 2020년 154억 9천만원에서 2023년 3,264억 2천만원으로 증가하였으나, 당기순이익은 큰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질문3: 티빙의 주요 경쟁자는 누구인가요?
답변: 티빙의 주요 경쟁자는 넷플릭스, 웨이브, 쿠팡플레이 등입니다.
질문4: 티빙의 광고요금제는 어떻게 운영되나요?
답변: 티빙은 광고형 요금제를 도입하여 월 5,500원에 광고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질문5: 티빙은 어떤 전략으로 수익성을 높이려 하고 있나요?
답변: 티빙은 스핀오프 콘텐츠 제작, 번들링 전략, 광고 요금제 도입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질문6: 티빙의 강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티빙은 콘텐츠 자체 제작 역량과 브랜드 파워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전 글: 반도체 장비 및 부품 관련주 20종목